본문 바로가기
모니터보고서/지역 방송 평가단

[한겨레 울림마당] 지역언론, ‘정부 나팔수’ 되나 (2010.3.2)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11. 5. 29.

최근 발간된 교수단체 백서에서 김서중 교수는 현 정부 언론정책을 ‘공공영역 최소화와 시장경쟁 극대화’로 규정했다. 우려는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 <경향신문> 외부칼럼 삭제 건이 자본의 위력 앞에 ‘자기검열’ 단계에 접어든 비판언론의 슬픈 현실이라면, 지역방송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태는 ‘사망선고’를 목전에 둔 지역언론의 우울한 자화상이다.

지난해 12월30일, 지역민방 <전주방송>(JTV)은 노조에 단체협약 해지를 통보했다. 지상파 방송사 초유의 일이다. 노조는 노조 무력화와 김택곤 사장 연임을 위한 것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그 뿐이 아니다. 지역성 프로그램은 시청률이 낮다고, 인지도 높은 공동제작물은 제작비가 많다며 폐지했다고 한다. 더욱 심각한 건 이런 결정이 편성위원회가 아닌 간부회의를 통해 이뤄졌다는 점이다. 이쯤 되면 방송사유화라 칭할 만하다. 회사 이해관계가 걸려있거나, 경영진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대상 역시 같은 운명에 처해졌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전주방송>이 과연 지역방송으로 존재할 이유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전주문화방송>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경영위기 타개를 이유로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피디인력이 팀장을 포함해 5명 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취재기자도 11명에 불과하다. 제작비 감소도 두드러져 주간 제작비는 전년 대비 50% 넘게 줄어든 17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는 프로그램을 통해 드러난다. 관언유착 심화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전주방송> ‘시사정보 통’의 경우, 2009년 9~12월 모두 65회 중에서 지자체 정책홍보가 21건을 차지했다. 지역사회 현안을 다루는 ‘시사진단’은 격주 편성으로 비중이 줄었다. 대신 그 자리는 노동법, 4대강, 세종시, 녹색성장, 개헌 등 정부 쪽 홍보 프로그램이 차지했다. <전주문화방송>도 마찬가지다. 순수 자체 제작물이 줄어든 자리는 지자체가 지원하는 ‘여성친화도시 익산’ ‘탄소시티 전주’ ‘새만금’ 등 특집으로 채워졌다.

이는 엠비(MB) 언론정책의 가장 약한 고리인 지역언론의 미래를 상징한다. 공공영역 축소와 시장경쟁 극대화는 지역언론을 생존 위기로 내몬다. 경영 명분은 지역성 거세와 감시기능 외면으로 이어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역사회를 향해 도움을 요청하는 언론노동자들의 목소리에 화답하는 것이다. 이는 서울공화국에 사는 지역사회 생존방식이기도 하다.

박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실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