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고센터

언론을 고발합니다_ 언론사 부당 행위 신고 센터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18. 2. 14.

 

 

언론을 고발합니다

 

  언론사 부당 행위 신고 센터를 운영합니다.

 


전북민언련은 100% 시민과 회원의 후원금으로만 운영합니다그래서 어떤 권력의 눈치도 보지 않고 문제제기 할 수 있습니다오로지 시민들의 힘으로 언론사의 횡포를 견제하고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과 윤리를 지켜갈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많은 제보많은 공유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2024총선미디어감시연대/ 언론 보도 신고 센터

제보 대상/ 전북 지역 언론사, 언론인, 언론 보도를 대상으로 제보 내용/ 불법적 행위, 여론조사 왜곡, 편향 보도, 언론 윤리 위반 사례 등 문의 전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2024 총선미디어감시

docs.google.com

 

여러분, 최근 벌어진 삼남일보 대표 구속 사건을 알고 계신가요?

JTV 8뉴스 화면 캡쳐

 

지난 1월 전주지검은 전북은행장 친일파 후손 문제를 보도하며 광고와 맞바꾼 공갈협박 혐의 외 기관과 단체를 상대로 광고비를 협박한 혐의로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김영란법) 위반을 적용했습니다. <김영란법> 시행 이후 언론인이 구속된 것은 전북에서 처음입니다. 검찰은 지역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광고비와 지자체 보조금은 물론, 최저임금 위반 등 관련 비리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으며 최근 여러 언론사가 보조금 횡령 문제로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언론계에 만연했던 비리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민언련에 언론사의 부당 행위를 목격했다는 이야기들은 계속해서 있어왔습니다.

촌지 요구는 물론 건설 현장 등을 돌아다니며 위법 사항을 발견하면 광고비로 맞바꾸는 광고 협박 사례를 비롯해, 선거 기간에는 기획사를 후보자와 연결해주고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사례도 말이죠.

 


실제로 2014년 여름과 추석 즈음에 전주시청 고위공무원이 전주시 기자단 소속 기자들에게 촌지를 제공했다는 제보가 들어오기도 했습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촌지제공은 기자단을 통해 일률적으로 배포되던 방식에서, 특정 기자를 대상으로 일대일로 전해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나, 분명 이같은 시도가 있었다고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1) 촌지는 더 음지로 숨었습니다.

2012411총선을 앞두고 지역언론 기자들이 특정 후보 측으로부터 돈 봉투를 받은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기도 했고, 20119월에는 전주시가 추석을 앞두고 시청 출입기자들에게 돈봉투를 돌렸다가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당시 전주시 출입기자단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기자단 해체를 천명하기도 했습니다. 민선 5기 때인 20103월에는 당시 전라북도 공보관이 선거를 코앞에 둔 시기에 기자들을 상대로 전별금 형식의 촌지를 돌렸다가 검찰 수사를 받기도 했습니다.

 

2) 각종 선물 및 향응제공, 동반취재를 빙자한 해외연수도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2014년부터 특정 기업에서는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관광성 국내 연수를 매년마다 제공했다는 점이 민언련에 의해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기업 뿐 아니라 도내 단체들도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공짜 연수를 제공하면서 기업과의 유착문제에서 기자들이 자유로울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이처럼 촌지와 같은 금품 수수, 광고비 협박, 리베이트 요구 등 사이비 언론 행위가 기자 개인의 일탈을 넘어 삼남일보와 같이 언론사 대표가 앞장서 진두지휘하는 상황이 현재 지역 언론계 내부에서 벌어지는 일이기도 합니다. (물론 열심히 하는 기자님들도 많습니다!)

 

3) 언론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거나, 기자가 지켜야할 윤리 원칙을 훼손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도내일간지 중 한 곳은 현직 정치부장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특정 도당의 선출직 평가위원으로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이에 논란이 가라앉기도 전 같은 일간지의 한 기자는 같은 도당에 임명되기도 했습니다. 휴직계 중 사표수리도 없이 도당에 임명되었다가 다시 복직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내부 징계는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언유착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게 무슨 경우일까요.

  

4) 가장 큰 문제는 보도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사주의 이해관계에 얽매여 불리한 보도를 생략하거나, 정치적 지대 획득을 위해 특정 정당에 유리한 보도를 하는 등 왜곡 편파보도의 사례들이 자주 등장하기도 합니다선거를 앞두고는 특정 후보자를 위해 여론조사를 조작하기도 합니다.

  

이에 민언련에서는 아래와 같은 성명을 발표하며 기자 사회 내부의 자정을 촉구하기도 했지만 아직 많은 부분 부족합니다.

[성명] 김영란법 위반 삼남일보 대표 구속에 대한 우리의 입장(20180112)

[성명] 우리는 언론인의 상식에 다시한번 호소합니다 (20171218)

[성명] 해외 공짜취재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 (20160623)

[성명] 출입처 스폰서 관행, 전북은행 출입기자단은 재발방지 약속에 나서라! (20151016)

[성명] 전북은행 출입기자단의 제주도 공짜연수를 규탄 (20150923)

[성명] 김영란법과 지역언론, ‘언론스폰서청산의 기회로!!! (20150311)

[캠페인] '촌지'는 뇌물입니다! (20150211)

 

 

 

 

"왜곡된 언론관은 

 

결국 지역사회의 공멸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무엇보다 가뜩이나 신뢰를 잃어가는 지역언론의 존립 자체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합니다.

매체환경이 변하면서 지상파방송과 지역일간신문 중심의 주류언론에 대한 관심과 신뢰는 해마다 추락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부에서 벌어지는 촌지 등의 행태는 지역언론 전체를 부패와 비리의 온상인양 매도하게 만들어, 더 큰 신뢰의 위기를 불러옵니다. 신뢰의 위기와 경영의 위기가 끊임없이 악순환됩니다.

 

 

지역언론의 위기는 지역사회 공론장을 파괴합니다.

지역언론을 통해 대리되던 건강한 비판이 사라진 공론장은 침묵의 카르텔을 번성케 합니다. 변화와 개혁을 거부하는 지역사회 기득권세력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 거죠. 결국 지역사회는 시대적 요구에 뒤처진 채, 토건세력 중심의 낡은 개발방식에 안주하는 낙후지역의 오명을 이어갑니다.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들도 그 폐해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건강한 지역언론이 사그라진 자리에 사이비언론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또 이들의 패악질에 지역사회는 더욱 황폐해져 갑니다.

 

 

 

"이런 악순환의 구조에서

 

이득을 보는 건

 

과연 누구일까?"

 

 

 

분명한 것은 변화를 바라는 대다수 시민들은 아니라는 겁니다. 건강한 상식을 가진 지방자치단체도 아닐 겁니다. 저널리즘을 고민하는 언론종사자는 더더욱 아니겠죠. 그렇다면 이제는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지역언론과 지역사회를 좀먹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는 그 출발점에 민주언론을 염원하는 시민들이 함께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언론사의 부당한 행위를 발견하면 전북민언련에 제보해 주시기 바랍니다.

 


취재를 이유로 업무 협조를 강요하거나 언론사에서 진행하는 행사와 관련 부당하게 업무를 강요함

언론사에서 제작한 연감 및 대관 구매/판매 강요 행위

언론사 주최 행사 및 공연 티켓 구매/판매 강요 행위

금품, 촌지, 접대(식사) 요구 행위

언론사 광고 요구(협박) 행위, 또는 이를 빌미로 협박성 기사 작성하는 경우

인사 개입 행위

⑦ 특정 정치, 이권 세력과 결탁하는 경우

 

 

 

▼ 신고센터에 제보하기

https://forms.gle/U8sK1cfjBE93rfoT9

 

2024총선미디어감시연대/ 언론 보도 신고 센터

제보 대상/ 전북 지역 언론사, 언론인, 언론 보도를 대상으로 제보 내용/ 불법적 행위, 여론조사 왜곡, 편향 보도, 언론 윤리 위반 사례 등 문의 전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2024 총선미디어감시

docs.google.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