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자 전북 주요 뉴스 (2017/08/10)

 

 

1. 전라북도에서 사활을 걸고 유치하려는 <2023 세계잼버리대회>가 전북에 어떤 경제 유발 효과를 가져오는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전북도는 잼버리 개최권을 따내면 2023년 내국인 1만 명과 외국인 4만 명 등 모두 5만 명가량이 참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행사에는 참가비(310억 원) 국비(54억 원) 지방비(127억 원) 등 총 491억 원이 소요될 전망이며 도는 이 대회를 유치하면 직간접적으로 총 800억 원의 경제효과가 예상돼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그런데 전라북도가 산출한 800억 원 경제효과는 어떻게 계산한 것인지 근거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대부분 지역 언론은 도에서 발표한 자료를 받아쓸 뿐 검증하지 않는데요,

어제(9) 전라북도는 세계잼버리대회 새만금 유치단 출정식을 열었습니다. 유치단은 11일 아제르바이잔으로 출국해 막바지 유치활동을 펼치는데요, 16일 세계스카우트 총회에서 개최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새만금잼버리대회> 유치 당위성, 도민들은 얼마나 공감하고 있을까요?

전라북도에서 국제적인 행사를 치른다는 자부심 외에 도민들이 얻는 효과는 또 무엇일까요? 우리는 빚더미에 앉으며 폐허로 변한 경기장들을 양산한 2016 리우올림픽 등 수많은 국제 행사를 치렀던 도시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새만금잼버리대회>로 인해 치러야 할 지출과 경제적 효과에 대해 도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유치 후에는 도민 여론을 수렴해 정부와 전라북도 도민들이 머리를 맞대고 <새만금잼버리대회> 유치 효과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하시길 바랍니다.

 

 

2. 어제 자 신문에서는 군산조선소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조선소 하청 협력사들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현대 측이 도크를 빌려주면 직접 중소형 배를 수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필사적으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는 하청 조선업계의 다급한 입장이 느껴집니다.

 

이에 전라북도는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고 합니다. 대신 후속대책 컨설팅 용역을 추진해 협력업체들이 가진 장비와 기술력을 모아 선박 건조 구조와 비슷한 풍력발전기 등의 하부 구조물 등을 제작하기 위한 쪽으로 선회한다는 입장입니다.

 

전북일보에서는 정부는 풍력발전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조선기자재업체 진출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북도도 이에 발맞춰 조선 협력업체가 보유한 기술을 해상풍력 발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라고 보도했는데요. 생존을 위한 사업다각화를 해법으로 보고 있는 듯합니다. 이와 별개로 전라북도에서는 군산의 경제적 충격을 줄이기 위해 4조 원 규모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국무조정실에 건의했는데요, 군산 근대역사문화 시간여행 벨트 조성, 선유도 고군산군도 해양관광 허브 조성,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 추진 등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조선업계의 수축기와 회복기는 주기적으로 되풀이되어 왔습니다. 최근 환경 규제 영향으로 선박 교체를 시도할 것이라는 예측이 높은 가운데 지난 10년 동안 쌓여 온 군산 조선업계의 기술 능력과 고급 기술 인력을 이대로 사장시킬 수는 없습니다. 이것도 지자체의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현대 측에서 재가동을 밝힌 건 2019! 그때까지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에 군산 조선업계와 지자체의 해법 찾기에 필사적으로 매달려야 할 것입니다.

 

 

첨부자료 

1. 전북일보 <세계잼버리 새만금 유치전 막판 스퍼트’>(1, 김세희 기자)

전북도민일보 <“새만금 세계잼버리 기필코 유치”>(1, 김민수 기자)

전라일보 <“2023 새만금잼버리 반드시 유치”>(1, 김지혜 기자)

새전북신문 <‘2023 잼버리개최권 따오겠다>(1, 정성학 기자)

연합뉴스 <전북도 2023 세계잼버리대회 새만금 유치에 사활>(8/2)

 

2. 전북일보 <군산조선소 협력업체 사업다각화”>(1, 이강모 기자)

전라일보 <군산조선소 피해 최소 지자체-업체 해법찾기>(1, 김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