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성명·논평·기자회견

잇따른 기자구속에 대한 전북민언련의 입장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11. 5. 24.

- 잇따른 기자비리, 지역신문의 자정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가뜩이나 어려운 전북지역 언론계에 악재가 겹치고 있다.
  지난주에는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열린우리당 당의장 사무실 '도청용 녹음기'
부착사건의 주인공이 작년 창간된 전민일보 서울주재 기자였다는 사실이 밝혀져 물
의를 빚었다.
  거기다가 지난달 23일에는 관내 업체들로부터 금품을 뜯어낸 혐의로 도내 J일보
부안 주재기자 황모씨가 전주지검 정읍지청에 의해 공갈혐의로 구속된데 이어, 이
달 10일에는 같은 지역 D일보 주재기자인 이모씨가 역시 공갈혐의로 구속됐다.

  도대체 왜 이런 일들이 반복되는가.
  우리는 관련사건의 진상이 명백히 밝혀져야 하며, 사건의 당사자들은 법에 의해
엄정한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에 더하여 이번 사건들이
단순히 기자개인의 문제로 치부되고 덮어지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도
또한 지적하고자 한다.

  우선, 전민일보의 김모기자에 의해 벌어진 '도청용 녹음기'사건은 한국언론계에
진실하고 공정한 보도보다는 기자윤리를 저버리더라도 소위 '특종'을 해야 능력을
인정받고, 또한 그것이 남들보다 '빠른' 보도를 하는 것이라는 왜곡된 인식과 풍토
가 자리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왜곡된 인식
과 풍토가 바로잡히지 않는 한 제2의 도청사건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부안주재 기자들의 잇따른 구속은 소위 '한지기자'로 알려진 지역주재
기자제의 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과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던져주고
있다.

  지역주재기자의 문제는 사실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오랫동안 일부 지역주재기
자들의 자질과 비리문제는 지역언론개혁의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어 왔
다. 특히 취재보도라는 기본적인 언론활동보다는 신문판매와 광고수주 등 영업활동
에 더 많은 비중을 둘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사이비언론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이는 또한 지역신문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의 토대가 되어 있으며, 대다수
열정적이고 능력있는 기자들에게까지 오명을 뒤집어쓰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져왔
다.

  결국 주재기자들이 본사를 먹여 살리는 먹이사슬 역할을 하고 있는 현실이 개선
되지 않는 한 주재기자의 비리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사건에 대한 본사차원의 반성과 자정노력은 찾아보기 힘들
다.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켰던 전민일보가 해당 사건에 대해 사과문을 게재했던 경
우를 제외하고, 비리에 연루된 자사 기자에 대해 나머지 신문들은 가타부타 말이
없다. 그냥 시간의 흐름에, 세인들의 기억력의 한계에 묻어버리자는 뜻인가?
  그러나 분명한 것은 비록 이번 사건 자체가 묻히고 잊혀질 순 있어도, 한번 추락
하기 시작한 지역언론의 신뢰를 되쌓기란 더욱더 어려워진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지금 지역신문들의 뼈아픈 자성과 개혁을 전제로 지역신문에 대한 범국가
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함께 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국회에 지역
신문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입법청원하고 있는 상태다.
  지역언론이 건강하지 않고서는 지방자치의 실현도, 지역민들의 삶의 질 향상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해당 신문을 비롯하여 지역언론계 전체가 이번 사안을 가볍게 보아 넘겨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전북기자협회가 이번 사건에 대해 깊은 자성과 재발방지
의 의지를 밝히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이제는 각 신문사가 대답할 차례다. 본
사차원의 사과 및 해당기자에 대한 징계와 함께, 재발방지를 위한 합리적대안을 마
련하여 전북언론 발전의 새로운 전기로 삼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2004년 1월 13일
전북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공동대표 송기도, 김동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