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성명·논평·기자회견

[성명] 취재원과의 부적절한 유착, 근절 방안은 없는가? - 전북은행을 출입하는 일부 기자들의 출입처 지원 야유회 관련 전북민언련 입장(20221109)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22. 11. 9.

 

[성명] 취재원과의 부적절한 유착, 근절 방안은 없는가?

- 전북은행을 출입하는 일부 기자들의 출입처 지원 야유회 관련 전북민언련 입장


 

전북은행을 출입하는 일부 기자들이 출입처로부터 부적절한 지원을 받아 친목 야유회를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다. 기자단 대화방을 통해 사전 신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이번 야유회는 지난 10월 21일, 6명의 기자와 3명의 전북은행 홍보실 직원이 동행했고, 고창에서 트레킹과 오찬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기자단은 전북은행 기자실 사용이 재개되면서 금융기관을 출입하는 기자단 선후배 간 친목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추진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전북은행 측은 그동안 기자들의 연수와 일상적인 요구를 수용해 왔으며, 이번 야유회도 기자단 측의 차량 제공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홍보실에서는 업무의 연장선에서 가능한 지원이라고 밝혔지만, 기자들의 친목 행사까지 지원하는 것이 회사의 방침이냐는 질문에는 마땅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 정당한 취재지원을 넘어 기자들의 단순 친목행사에까지 출입처의 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지원이 일회적이 아니라 지속적이라는 점이다. 지난 2014년과 2015년에도 전북은행은 출입처 기자들을 대상으로 제주도 공짜 연수를 제공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시 공짜 연수‧공짜 취재에 대한 지역사회의 질타가 이어지면서 전북기자협회는 ‘협회 소속사 회원의 국내, 해외 연수 규정’을 마련하고, 자치단체, 기업, 공공기관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관행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하지만 일부에서 이런 부적절한 지원이 되살아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울 수밖에 없다.

 

출입처로서는 기자단의 민원해결이 자사의 홍보효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언론의 감시기능 약화와 지역민의 알 권리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실제로 전북은행은 최근 높은 예대금리차 문제, 꺾기 관행, 소극적인 지역사회 이익 환원, 지방 은행 중 브랜드 평판 최하위 등 비판적 이슈들에 노출되었다. 일부에서는 전북은행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내 6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해당 이슈가 제기됐던 세 달 동안의 전북은행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89.5%가 홍보성 기사였고, 위의 비판적 이슈를 다룬 것은 10.5%에 불과했다. 일부 신문사는 비판적 이슈 자체를 사실상 외면하기도 했다.

 

언론의 감시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조직의 위기 징후는 알려지기 어렵고, 결국 그 피해는 해당 기업과 기관만이 아닌 지역사회 전체로 되돌아올 수밖에 없다. 작은 편의를 위해 저널리스트로서의 본령을 외면하는 기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눈앞의 비판기사를 모면하기 위해 언론을 관리하려는 기업의 행태 역시 비판받아 마땅하다. 취재원과 기자단의 부적절한 유착이 사라져야 하는 이유다.

 

그나마 다행인 건, 이 같은 행태가 기자단 전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일부 기자들의 일탈 행위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기자들의 자정노력이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일탈행위를 방치한다면 결국 그 피해는 기자단과 지역 언론 전체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기자단 차원의 강력한 근절 대책 마련이 절실한 이유다.

 

무엇보다 이번 야유회에 참여한 기자와 지원받은 내용들을 공개하고, 해당 기자들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길 바란다. 아울러 처리결과에 대한 공개와 함께 향후 재발방지 대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전북은행 차원에서도 이번 사안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와 함께, 향후 재발방지에 대한 분명한 입장과 대책을 발표해야 할 것이다.

 

지역 언론이 위기라는 말은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지방소멸 위기와 매체 간 경쟁 심화는 대표적인 환경요인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지역 언론 내부에 있을지도 모른다. 이번 사안처럼 지역 언론 스스로 신뢰의 위기를 자초하는 한, 지역 언론의 생존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다시 한 번 지역 언론의 자성을 촉구한다.

 

2022년  11월  9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김은규, 이상훈, 이종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