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자 전북 주요 뉴스 (2017/06/12)
지역 뉴스
1. 전주-김제 통합론, 주민 의견 수렴 없는 정치적 노림수?
갑자기 불거진 전주 김제 통합론 주장에 대해 정작 중요한 주민 여론은 외면한 채 정치적 이득을 노린 노림수라는 비판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8일 열린 도의회 도정질의에서 예고했던 대로 김종철 도의원이 전주-김제 통합론을 거론하고 송하진 도지사에게 공개 질의했습니다. 추가로 혁신도시의 통합 필요성도 제기했습니다. 송하진 도지사는 지역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먼저라며 통합론에 반대했습니다. 김제시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정호영 도의원도 불필요한 논란을 만들고 있다며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김종철 도의원은 전라북도의 새로운 성장 동력, 전주시의 광역도시화, 교통편의, 새만금과의 연계 등을 근거로 제시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없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전북일보] ‘전주-김제 통합론’ 도의회서 또 거론 (6월 9일 보도, 2면, 최명국 기자)
[전북도민일보] “전주-김제 통합 논의 필요” (6월 9일 보도, 3면, 박기홍 기자)
[전라일보] 다시 살아난 ‘전주-김제 통합’ 찬반 대립 (6월 9일 보도, 3면, 장병운 기자)
[새전북신문] 송하진, “전주-김제 통합 힘들어” (6월 9일 보도, 1면, 정성학 기자)
[전주 MBC] ‘전주-김제 통합’.. 지방선거 포석? (6월 8일 보도, 이종휴 기자)
[KBS 전주총국] 시군 통합 공-방... 지방선거 전초전? (6월 8일 보도, 안태성 기자)
[JTV] 잇단 통합 제안... “공감대 필요” (6월 8일 보도, 김 철 기자)
[CBS 전북노컷] '전주-김제 통합론' 전북도의회에도 올라 (6월 8일 보도, 도상진 기자)
2. 재량사업비 비리로 노석만 前 도의원 구속
검찰에서 도내 정치권의 재량사업비 관련 수사를 계속하고 있죠. 검찰이 지난 8일 재량사업비 중 일부를 리베이트 명목으로 받은 혐의로 노석만 前 도의원을 구속했습니다. 도의원 시절 아파트 단지에 체육시설을 설치해주고 1540만 원을 받았고 심지어 퇴임 후에도 직접 운영하는 가구업체의 서류를 조작해 돈을 추가로 받았다고 합니다. 영장심사에서는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직 도의원이 구속되면서 현직 의원들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됐는데요, 전북도민일보의 기사 제목 그대로 정말 의혹이 끝이 없네요. 내년 지방 선거 때 정말 제대로 된 투표가 필요해 보입니다.
[전북일보] 비리로 얼룩진 전북 공직사회·정치권 (6월 9일 보도, 4면, 백세종, 천경석 기자)
[전북도민일보] 재량사업비 비리 의혹 ‘끝이 없다’ (6월 9일 보도, 5면, 설정욱 기자)
[전라일보] ‘재량사업비 비리’ 리베이트 챙긴 전 도의원 구속 (6월 9일 보도, 4면, 신혜린 기자)
[새전북신문] 돈받고 특혜주고... 끊이지 않는 공무원 비리 (6월 9일 보도, 6면, 공현철 기자)
[전주 MBC] 재량사업비 비리 前 도의원 구속 (6월 8일 보도, 김아연 기자)
[KBS 전주총국] 재량사업비 집행하고 뇌물 받은 前 도의원 구속 (6월 8일 보도)
[JTV] ‘재량사업비 비리’ 전 도의원 구속 (6월 8일 보도, 하원호 기자)
[CBS 전북노컷] '재량사업비 수사 점입가경' 檢, 전직 전북도의원 구속 (6월 8일 보도, 임상훈 기자)
3. 익산시 공무원과 골재 채취업체 유착 관계 드러나
지난 8일 주요 뉴스에서 골재 채취업체에게 뇌물을 받은 익산시 고위 공무원에 대한 소식을 전해드렸죠. 그런데 똑같은 업체에게 금품을 받은 익산시 공무원 8명이 추가로 불구속 입건됐습니다. 골재 채취업자가 아내 명의로 농업회사법인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특혜를 주고 금품을 받은 혐의입니다.
이 회사법인은 익산시로부터 5억 원의 보조금까지 받았는데, 업자와 공무원들이 보조금과 법인 수익금을 나눠 가진 혐의도 있습니다. 경찰은 관련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이쯤 되면 익산시의 사과와 철저한 자체 조사도 필요해 보입니다.
[전북일보] “당신이 받은 뇌물 수첩에 적혀있다” (6월 9일 보도, 4면, 백세종, 천경석 기자)
[전북도민일보] ‘골재채취 업자와 유착’ 익산시 공무원 줄줄이 입건 (6월 9일 보도, 5면, 이정민 기자)
골재채취 비리 익산시 공무원 업자와 결탁 국고 5억원 타내 (5면, 이정민 기자)
[전라일보] 익산시 공무원·골재채취업체 유착 속속 드러나 (6월 9일 보도, 4면, 하미수 기자)
익산시 고위 공무원 비리 ‘접입가경’ (4면, 하미수 기자)
[새전북신문] 끊이지 않는 공무원 비위사건, 근절대책 세워야 (10면, 사설)
[전주 MBC] 익산시 공무원 8명.. 뇌물 혐의 입건 (6월 8일 보도)
[KBS 전주총국] 특혜 주고 금품 받은 익산시 공무원 8명 입건 (6월 8일 보도)
[JTV] ‘금품 수수’ 익산시 공무원 잇따라 적발 (6월 8일 보도)
4. 도내 지자체 무분별한 공공건물 건설, 감당하기 벅차 재정 악화 원인
일부 시군이 공공 건축물을 무리하게 지어 재정 악화를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학수 도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공공건물의 연 관리비만 1500억 원이라고 하는데요, 최근 2년 동안 새로 건축한 건물만 253개로 3676억 여 원을 건축비로 썼다고 합니다. 대책으로 심사 강화를 위해 전라북도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설을 제안했는데요, 송하진 도지사도 의견을 적극 수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국 최하위 재정자립도에 자체 수입으로 인건비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전라북도 지자체들, 이제는 건물에 투자할 게 아니라 사람에게 투자를 했으면 좋겠네요.
[전북일보] 인건비도 못 주는 지자체 치적용 건물엔 예산 ‘펑펑’ (1면, 최명국 기자)
[전북도민일보] ‘묻지마 신축’에 뒷감당 벅찬 지자체 (3면, 박기홍 기자)
[새전북신문] 공공건물 유지비 눈덩이... 연 1,500억 (2면, 정성학 기자)
5. 집단 암 발생 논란 비료업체, 폐쇄명령 집행정지 신청 기각
집단 암 발생으로 논란이 된 익산 장점마을, 주민들에게 암 발생 원인으로 지목된 근처 비료업체가 낸 폐쇄명령 집행정치 가처분 신청이 기각됐습니다. 이 판결에 따라 비료공장의 대기배출시설 폐쇄는 그대로 진행됩니다. 이 비료공장은 익산시의 조사 결과 대기유해물질인 니켈의 배출량이 시설 적용기준(0.01㎎/S㎥)을 초과한 0.0470㎎/S㎥로 나타나 폐쇄 명령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주민들의 집단 암 발병과 비료공장의 뚜렷한 인과관계는 드러나지 않았는데요, 암 발생 원인이 빨리 밝혀졌으면 좋겠습니다.
[전북일보] “집단 암 원인 지목 비료공장 폐쇄명령 마땅” (4면, 백세종 기자)
[전북도민일보] ‘암 집단발병’ 익산 비료공장 폐쇄 ‘마땅’ (4면, 설정욱 기자)
[전라일보] “주민 집단 암 유발 비료공장 폐쇄명령은 마땅” (4면, 신혜린 기자)
[새전북신문] ‘암 집단 발병’ 논란 비료업체 집행정치 가처분 신청 기각 (6면, 공현철 기자)
[전주 MBC] 법원, 암 발병 원인 추정 시설 폐쇄는 정당 (6월 9일 보도)
[CBS 전북노컷] '집단 암 발병' 익산 장점마을, 공장시설 폐쇄 가처분 기각 (6월 9일 보도, 임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