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자 전북 주요 뉴스 (2017/07/17)
지역 뉴스
1. 서해안 지역 폭우 피해 심각, 원인 분석·예방 대책 제시하는 후속보도 필요해
한 달 전만 해도 가뭄으로 걱정이었는데 지금은 오히려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걱정입니다. 주말 동안 내린 폭우로 전북지역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속출했기 때문인데요, 특히 서해안 지역의 피해가 컸습니다. 재난안전본부는 농경지, 비닐하우스 침수 면적이 526.3ha에 달한다고 밝혔고 피해지역 농민 중 절반가량이 재해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마전선이 아직 물러나지 않아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있는데요, 폭우 대비와 함께 피해 주민들을 위한 대책도 필요해 보입니다.
한편 언론사 대부분이 단순히 피해를 전달하는 보도를 하고 있는데요, 원인 분석이나 예방 대책을 제시하는 후속보도가 주민들에게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전북일보] 주말 집중호우... 도내 곳곳 비 피해 속출 (4면, 군산=문정곤, 김세희 기자)
[전북도민일보]
군산·부안 최고 273mm 물폭탄 주택·농경지 침수로 피해 속출 (1면, 김민수, 군산=조경장, 부안=방선동 기자)
[전라일보] 주말 폭우... 군산 선유도 275mm (1면, 신혜린 기자)
[새전북신문] 주택 잠기고, 농작물 쓰러지고 (1면, 정성학 기자)
[전주MBC] 느닷없는 물벼락... 서해안 폭우 피해 (7월 15일 보도, 한범수 기자)
전북 폭우 피해 상대적으로 적어 (7월 15일 보도)
[KBS전주총국] 군산 선유도 275mm 폭우... 곳곳 침수 (7월 15일 보도, 진유민 기자)
정부 권장에 밭작물 심었다가 ‘낭패’ (7월 15일 보도, 안태성 기자)
[JTV] 300mm 물 폭탄... ‘잠기고, 무너지고’ (7월 15일 보도, 주혜인 기자)
2. 김승환 교육감, 항소심에서 벌금 700만 원 선고
지난 2012년 교육부가 학교폭력 가해 사실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지침과 관련해 요구한 감사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김승환 교육감이 벌금 700만 원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1심에서는 무죄를 선고받았는데 항소심에서 결과가 뒤집혔습니다. 2심 재판부는 자료제출 거부가 교육감의 권한을 넘어서는 직권남용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형을 선고받았지만 금고형 이상,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감 직위는 계속 유지할 수 있습니다.
김 교육감은 박근혜 정권의 교육폭력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라며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아이들을 지키려는 과정에서 받은 훈장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승환 교육감 측은 상고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대법원은 어떻게 판단할지 궁금하네요.
[전북일보] ‘감사자료 제출거부’ 김승환 교육감 항소심서 벌금형 (4면, 백세종 기자)
[전북도민일보] 김승환 교육감 항소심 벌금 700만원 (5면, 이정민 기자)
[전라일보] ‘국감 거부’ 김승환 도교육감, 항소심서 700만원 벌금형 (4면, 신혜린 기자)
[새전북신문] 김승환, 항소심서 벌금 700만원 (5면, 공현철 기자)
[전주MBC] 김승환 교육감.. 2심 ‘벌금 700만 원’ (7월 14일 보도, 김아연 기자)
[KBS전주총국] ‘감사자료 제출거부 지시’ 김 교육감 항소심 벌금형 (7월 14일 보도)
[JTV] ‘감사자료 제출 거부’ 김승환 교육감 벌금형 (7월 14일 보도)
[CBS전북노컷] 김승환 교육감, 항소심 벌금형 "아이들 위한 훈장" (7월 14일 보도, 임상훈 기자)
3. 버스기사 근무 환경 개선, 자동 제동장치 설치 의무화 필요해
최근 버스기사의 졸음운전 때문에 연달아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버스기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이 알려지면서 개선 필요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버스기사들은 하루에 15시간을 몰아서 운전하고 다음날 쉬는 격일제로 근무해 졸음운전의 위험이 높습니다. 대안으로 1인 2교대를 제시하고 있지만 아직 일부 시범운영에 그치고 있습니다.
자동 제동장치 설치율도 매우 낮은데요, 설치 의무규정도 없고 비용도 비싸서 기업들이 부담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도내에 있는 대형버스들 중 자동 제동장치가 설치된 버스는 단 한 대도 없는데요, 버스기사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합쳐져 사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전주 지역은 「시민의버스위원회」 제안으로 버스기사들의 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1인 2교대 논의가 2015년부터 주요 안건으로 상정되었지만 노조 내의 입장 차로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버스 근로자의 근무 환경은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조속한 결론과 실행이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전북일보] 고용부, 버스 운전기사 근로실태 조사 (5면, 연합뉴스)
[전주MBC] ‘깜빡 졸다’ 안타까운 사고 되풀이 (7월 14일 보도, 한범수 기자)
[KBS전주총국] “전주·완주 시내버스 2교대 즉각 실시해야” (7월 14일 보도)
[JTV] (심층취재) 15시간 운전... 아찔한 시내버스 (7월 14일 보도, 오정현 기자)
(심층취재) 제동장치 설치율 한국 20% vs 일본 100% (7월 14일 보도, 김 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