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니터보고서/지역 언론 모니터

지역신문의 광고성기사 문제 여전(06.04.05)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11. 5. 26.

지역신문의 광고성기사 문제 여전...

  광고를 대가로 한 홍보용 기사들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일반 홍보성기사와는 또 달리 광고를 매개로 하거나, 지자체의 예산책정에 의한 광고기사가 일반기사처럼 보도되는 사례는 지역신문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이와 관련 3월 13일부터 3월 24일까지 발행일 기준 10일간의 지역신문 광고기사 실태를 조사했다.
  분류대상은 광고를 마치 취재기사인 것처럼 보도했거나, 또는 광고를 대가로 일반 홍보성기사를 내 준 경우가 총 23건으로 조사대상 매체 5개가 평균 4건 이상의 광고기사를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전북일보가 9건으로 가장 많고, 전민일보 8건, 전북도민일보 5건, 새전북신문이 1건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우선 보도가 나온 같은 날 또는 며칠 사이로 해당 사안과 관련한 광고가 실리는 경우가 있다. 주로 일반사업자와 관련된 내용들인데, 가령 아파트 분양과 관련해 기사가 실리고 며칠 뒤, 관련 광고가 실리는 식이다.
  이 경우 관련기사는 해당 아파트에 대한 일방적 홍보성 기사로 채워지는데, 일반기사 자체도 광고인지 기사인지가 구분이 안 될 정도다.
  
  두 번째 사례는 지자체 광고기사의 유형이다.
  통상 지방자치단체들은 본예산 등에 관련 광고비를 책정한다. 해당 지자체의 각종 정책이나 행사 등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 신문시장이 정상화되어 있지 못한 구조에서 광고주들이 광고비를 전제로 이를 요구하는데서 비롯되기도 하거니와 더 많은 광고를 유치하기 위해 관행적으로 신문사들이 이런 홍보기사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신문기사의 신뢰성에 기대어 자사 또는 자사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전략에 기인한다.
  지자체 광고기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이것이 독자들을 속이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보도자료 베끼기가 문제되는 것은 해당 보도자료가 제공기관의 일방적 홍보내용으로 채워져 있는 까닭이다. 문제점은 생략된 채 홍보위주로 만들어진 보도자료가 무비판적으로 기사화될 경우 이는 결국 해당 사안에 대한 왜곡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광고는 더 말할 것도 없다. 특히 이를 일반 보도기사인 것처럼 처리하는 것은 더더욱 용납될 수 없다. 언론으로서의 기본 역할을 방기하는 것일 뿐 아니라 독자를 속이는 일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는 법적인 문제소지도 있다. 기자는 그 어떤 이유에서도 기사를 대가로 금품 등 금전적 이득을 취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광고를 대가로 홍보성기사를 써주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런 사례들은 특히 지역신문들의 열악한 재정상황에서 더 큰 문제가 된다. 재정의 상당부분은 바로 이런 식의 유착 내지는 지면왜곡을 통해 해결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광고주들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핵폐기장 보도와 관련해 거의 모든 매체에 한수원의 광고가 집중 배치되고, 새만금 보도와 관련해 전라북도나 관변단체인 강한전북일등도민운동본부 등의 광고가 연일 지면에 등장한 사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지역신문 나름대로 해당 사안에 대한 판단도 주요하게 작용했겠지만, 또한 한수원이나 전라북도의 해당사안에 대한 이해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