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의 전주시의원 특혜 의혹, 지역언론 침묵하거나 소극적으로 보도해
오늘의 브리핑 1) 홈플러스의 전주시의원 특혜 의혹, 지역언론 침묵하거나 소극적으로 보도해 |
1) 홈플러스의 전주시의원 특혜 의혹, 지역언론 침묵하거나 소극적으로 보도해
홈플러스의 전주시의원 특혜 의혹에 대한 시민단체의 문제제기가 계속 이뤄지고 있다. 전북시민참여포럼은 9월 5일 성명에서 “지역주민의 바람을 정책 결정에 반영해야 할 시의원이 오히려 대형마트의 입장을 옹호하고 뒤로는 이익을 챙기는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고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특혜의혹을 받고 있는 의원은 “모든 것은 내 불찰이며 책임을 지고 누나와 상의해 커피숍 매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전주MBC만 연일 의혹을 제기하고 있을 뿐 전주KBS는 여전히 이와 관련해 침묵하고 있다. 전주MBC는 9월 5일자 저녁뉴스 <운영 포기..의혹 규명 촉구>에서 전주시의원이 매장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지만 “마트 인허가와 건축 과정에서 유력자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무성한 가운데 의회 차원의 해명과 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해당 의원은 지난 4월 전주시의장과 함께 대형마트 규제를 요청하는 10만 도민 서명부를 국회에 전달하는 등 겉으로는 영세 상인 보호를 주도했기 때문에 주민의 실망감이”크다면서 시민단체들이 “주민들의 항의 시위 한번 없이 대형마트가 문을 연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지역 유력자와의 유착 의혹에 대한 마트 측의 해명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그 동안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던 JTV전주방송은 이 사안을 아주 작게 취급했다. JTV전주방송은 저녁뉴스 <전주시의원 가족 대형마트 입점 논란>에서 시민단체의 문제제기와 해당 시의원의 해명을 간략하게 전달하는 선에서 그쳤다.
전주KBS가 이 사안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이 사안이 뉴스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경쟁 방송사인 전주MBC가 먼저 보도했다는 이유로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인지, 그도 아니면 다른 이유와 속사정이 있는 것인지 통 알 수가 없다.
지역신문 역시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전북일보와 새전북신문만 관련 소식을 전하고 있을 뿐이지만 이들 신문사도 기사가치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
전북일보는 9월 6일자 6면 <“대형마트 편법 임대계약 시의원 사퇴하라”: 전북시민참여포럼 성명…“주민소환운동 불사”>에서 전북시민참여포럼의 성명과 해당 의원의 입장을 전달하는 데 그쳤다.
새전북신문은 관련 사안에 대한 기사는 없고 사설만 있다. 새전북신문은 9월 6일자 사설 <전주시의원 홈플러스 임대매장 입점 논란>에서 “만약 시민단체들이 제기한 것처럼 지위를 이용해 자기 지역구내에 입점한 홈플러스 임대매장을 누나의 명의로 계약해 입점하고, 동생이 납품을 한 것이 사실이라면 P의원은 도덕적 ·윤리적 책임을 지고 의원직을 사퇴해야 마땅하다.”면서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P의원과 홈플러스 효자점은 진실이 무엇인지 스스로 명확히 밝혀야 한다.”
<새전북신문 9월 6일자 사설>
지역언론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만 전할 것이 아니라 사실을 확인해 보도해야 할 것이다.
2011년 9월 6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직인생략)
'모니터 > 지역 언론 모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일보, 익산시의 도로공사 입찰방식 변경…“입찰의 공정성” 확보해야(2011/9/8) (0) | 2011.09.08 |
---|---|
전주MBC, 전주시의회의 제식구 감싸기… JTV전주방송, 전주시의원의 대리운전 영업 비판해(2011/9/7) (0) | 2011.09.07 |
전주MBC…홈플러스의 전주시의원 특혜 의혹 연일 지적해 (2011/09/05) (0) | 2011.09.05 |
현대차와 비정규직 노동자 충돌, 지역언론 침묵해 (2011/9/2) (0) | 2011.09.02 |
지역언론은 야구장 건립비용 문제 따져야 (2011/08/30) (0) | 2011.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