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미디어이슈 브리핑4

전북에도 공동체라디오가 생길까? 방송통신위원회가 공동체라디오 신규사업자 예비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05년 1기 사업자가 시범방송을 시작한 지 15년 만의 일이다. 전북지역에서도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와 전북민언련, 호남언론학회 등이 중심이 되어 공동체라디오 설립 작업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공동체라디오에 대한 논의가 처음 시작된 것은 1995년이다. 공보처가 선진방송 5개년 계획에서 지방화 시대에 적합한 미디어로 공동체 라디오를 발표하고, 이후 2005년 시범방송을 거쳐 2009년 정규방송을 시작했다. 당시 운영 허가를 받은 지역은 수도권의 관악, 마포, 분당과 충남 공주, 경북 영주, 대구 성서, 광주 북구, 전남 나주 등 모두 8곳이었다. 공동체라디오는 전 세계적으로 100여 개국에 1만 개 이상이 운영 중인데, 갈수.. 2020. 9. 25.
SKB 전주 방송, LG헬로 전북방송 출범과 지역 콘텐츠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와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합병으로 전북지역 일부를 권역으로 하던 CJ헬로 전북방송과 티브로드 전주방송이 각각 SKB 전주방송, LG헬로 전북방송으로 모습이 바뀌어 새롭게 출범했다. 지역민 입장에서 대형 IPTV의 지역 케이블 방송 인수 합병이 지역 콘텐츠, 지역 언론 문화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지 기대와 함께 우려가 함께하는 실정이다. 미국에서는 방송통신 융합 논의와 함께 1996년 텔레커뮤니케이션법 정비로 통신사업자의 케이블TV 사업 진입이 가능해졌다. 국내에서도 이후 통신사업자가 위성방송, IPTV에 진출하게 되었고 케이블TV를 인수 합병하기에 이른 것이다. 방송과 통신은 그 매출 규모의 큰 차이와는 별도로 공익과 시장이라는 서로 다른 규제 철학을 배경으로 한다.. 2020. 9. 25.
재난 상황과 지역 방송 - 박민 참여미디어연구소장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했다. 재난 상황이 언제쯤 종식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은 더 큰 걱정거리다. 코로나19는 비단 전염병 관리에 대한 고민만을 남겨 놓은 것은 아니다. 인간의 탐욕이 초래한 지구환경의 변화는 재난의 일상화를 초래했다. 재난을 끼고 살든, 아니면 삶에 대한 태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든 인류는 양자택일의 기로에 선 것인지도 모른다.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된다. 재난방송이라 함은 재난 발생 시(또는 재난 발생이 예견될 시) 국민들에게 재난 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전해줘 더 이상의 피해를 막고(또는 재난 발생을 예방), 더 나아가 재난의 복구 및 사고의 원인에 따른 앞으로의 대책에 대한 방향까지 제시함을 .. 2020. 7. 9.
팬데믹과 인포데믹의 시대... 안녕하신지요! - 김은규 전북민언련 공동대표 “여러분, 안녕하신지요!” 가벼운 마음으로 나누던 이 인사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무게감 있게 다가오는 시절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마스크는 이제 집 나설 때 꼭 챙겨야 하는 필수품이 되었고, 손 씻기와 거리 두기가 생활 속 기본 수칙이 되었습니다. 등교가 미루어지고, 각종 모임과 회합도 자제해야 하는 비대면 시대가 되었습니다. 우스갯소리로 “저녁이 있는 삶을 코로나가 가져다주었다”고도 합니다. 코로나 팬데믹과 더불어 인포데믹(infordemic)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인포데믹은 이른바 정보전염병입니다.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확산되면서 사회적 피해를 끼치는 것을 우려하는 용어입니다. 그 용어가 반영하듯 인포데믹은 재난 상황에서.. 2020. 7. 9.